조회 수 3445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성변측후 단자 1664년 12월 28일(현종 5년 11월 12일 기해) 기록에는 다음 내용이 있습니다.


"밤 9시 경(밤 2경 1점)에 혜성이 남동쪽(손방)에서 하늘 끝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얼마 뒤 구름이 하늘을 덮어 관측할 수 없었다. 밤 0시 경(3경 2점)이 되어 구름이 사라진 후 상세히 관측하니 정수(井宿) 27도와 호성 가운데 있었고, 북극과의 거리는 115도였다. 형체와 색깔은 어제 그대로이고 꼬리의 자취는 달빛에 가리어 조금 엷어진 듯하다. 밤 3시 경(4경 말) 달이 진 후 다시 관측하니 길이와 폭이 그대로이며 그 끝은 북쪽을 가히키고 조금씩 동쪽으로 향했다."


이 기사에 등장하는 혜성은 C/1664 W1 혜성입니다. 17세기 중반에 나타난 대혜성으로 1664년 12월 29일에는 지구에서 0.17AU까지 접근했던 혜성입니다. 지구와 가깝고 혜성이 밝아서 관측환경은 매우 좋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밝기도 매우 밝아서 12월 20일에 이미 시리우스(천랑성)만큼이나 밝았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입니다. 지구와 더욱 가깝게 접근한 28일은 더 밝게 보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달이 점차 밝아지고 있던 시점이라 그런지, 밝기는 계속 비슷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성변측후 단자의 다른 날짜 기록을 볼 때, 꼬리의 길이도 매우 길어서 30~40도에 이르렀던 것 같습니다. 


test8716.gif 

 (1664년의 대혜성이 지구와 가장 근접했을 때의 궤도 위치)


이 혜성은 초반부터 밝기 때문인지, 별자리와 함께 혜성이 그려져 있는데, 12월 28일의 기록에는 아래와 같은 그림이 실려 있습니다.


c1664w1.jpg 

그림에서 왼쪽이 성변측후단자에 실린 그림이고, 오른쪽 그림은 성도 프로그램으로 그 때 당시의 상황을 재현해 본 모습입니다. 혜성의 위치는 기록과 잘 일치합니다. 문제는 꼬리의 방향인데요, 성변측후단자의 기록과 성도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모습에 매우 큰 차이가 납니다. 성변측후단자의 기록이 정확하다면, 성도 프로그램의 별자리 동정이 잘못되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겠지요(성도 프로그램에서는 꼬리의 방향을 3차원 공간에서 태양의 반대쪽 방향으로 향한다고 가정하고 그립니다).


* 꼬리의 방향은 이후의 기록과 비교해보면 성도에서 그리고 있는 것과 비교해 반시계 방향으로 약 10도 정도 차이가 납니다.


[참고자료]

1. 관상감이 기록한 17세기 밤하늘(기상청 발행, 한국기상기록집 3, 2013)

2.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 http://ssd.jpl.nasa.gov/sbdb.cgi

3. Cometography : http://cometography.com/orbits_17th.html



?
  • ?
    배현진 2014.08.05 20:00

    좀전까지 성변측후단자 기록을 살펴보다가 실제 혜성 궤도가 궁금해서 찾다보니 창환님 홈페이지에 오게 되었습니다. 깔끔하게 분석/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로, 성변측후단자에 기록된 혜성 꼬리는 아마도 먼지꼬리일 것이기 때문에 혜성이 태양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게 됩니다. 이와 별개로, 태양에 대해 항상 반대방향에 놓이는 꼬리는 이온꼬리이죠. 그렇게 생각하면 저 10도의 차이가 이해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 profile
    창환 2014.08.06 21:58

    옛 천문기록에 관심을 가지신 분을 만나니 무척 반갑습니다. 지난해 아이손 혜성을 계기로 성변측후단자에 있는 혜성 기록 6개 모두에 관한 글을 쓰려했는데, 게으름 탓에 아직 하나도 쓰지 못하고 있네요.

    혜성 꼬리는 변수가 워낙 많은 편이라 사실 실제로 어떻게 보였을지 무척 궁금합니다. 기록으로 보아 이 혜성은 1997년의 헤일-밥 혜성이나 1996년의 햐쿠타케 혜성과 맞먹는 장관을 보여주었을 것 같습니다. 접근 거리로 보아 아마도 햐쿠타케 혜성과 느낌이 더 비슷했겠지요. 꼬리의 방향은 본문에선 10도라고 적어 놓았지만 지금 보니 숫자를 잘못 입력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눈으로 대충 보아도 10도보단 훨씬 클 것 같아요. 밝은 먼지꼬리는 변수가 많아서 어떻게 보였을지 알기 어렵지만, 각도 차이가 제법 커 보이긴 합니다.

    사실 신법천문학 시대의 별자리는 관련 자료가 많아서 동정에 큰 무리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구밥천문학 시기의 별자리는 각각의 별의 좌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서 동정이 쉽지가 않아요. 이 시기의 사람들이 어떤 하늘을 보았는지 궁금하긴 하지만 그걸 온전히 살려내는 건 어려운 문제 같아요. 

    옛 천문학에 관한 이야기가 있으면 함께 나누었으면 좋겠습니다.



  1. 우리의 옛 별자리, '기부(器府)'는 어디에 있을까?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보면 진수 아래쪽에 '기부(器府)'라는 바둑판을 닮은 별자리가 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천문류초의 별그림에는 29개의 별이 그려져 있지만, 다른 천문관련 문헌에는 32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는 별자리입니다. 악기를 다루는 부서로...
    Date2014.07.20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2225
    Read More
  2. No Image

    고천문 기록의 각도 변환

    고천문 기록을 살펴보면 각도를 표시할 때 두 가지 방법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낼 때 쓰는 방법으로, 현재와 같이 각도의 단위를 이용하여, 위치를 표시합니다. 천체의 적위를 거극도, 적경은 입수도를 이용해서 표현하고, ...
    Date2013.08.15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3234
    Read More
  3. '성변등록'과 혜성 기록

    '성변등록(星變謄錄)'은 조선시대에 관상감의 관측일지를 모아놓은 책으로, 특이한 천문, 기상현상이 나타났을 때 매일매일의 관측일지인 성변측후단자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성변측후단자에는 하늘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천문현상과 기상현상을 꼼꼼하게 기...
    Date2013.07.27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3568
    Read More
  4. 성변측후단자에 기록된 1664년의 대혜성과 별자리 동정

    성변측후 단자 1664년 12월 28일(현종 5년 11월 12일 기해) 기록에는 다음 내용이 있습니다. "밤 9시 경(밤 2경 1점)에 혜성이 남동쪽(손방)에서 하늘 끝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얼마 뒤 구름이 하늘을 덮어 관측할 수 없었다. 밤 0시 경(3경 2점)이 되어 ...
    Date2013.07.27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3445
    Read More
  5.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조선 세종대에 만든 천체 관측기기로 해가 없는 밤에도 별을 이용해 시각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실록을 보면, 세종 19년(1437) 4월 15일에 4대를 완성했는데, 한 대는 사진처럼 용으로 장식을 해서 궁궐 내에 설치를 했고, 나머지 ...
    Date2010.02.0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10364
    Read More
  6. No Image

    국역이 이루어진 천문 관련 고서

    국역이 이루어져 있는 천문 관련 고서 목록입니다. 모두 조선시대에 펴낸 책을 번역한 것이지만 고려사 역지, 천문지, 오행지, 증보문헌비고 상위고에는 이전 시대의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1. 천문류초(天文類抄) 옮긴이: 김수길, 윤상철 펴낸곳: 대유학당, 2...
    Date2010.01.2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530
    Read More
  7. No Image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천문학편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주로 고려와 조선시대에 펴낸 과학기술 관련 도서 142종의 문헌을 모아서 펴낸 책으로 모두 70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가운데 1~10권이 천문학 관련 도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고천문 연...
    Date2010.01.21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6594
    Read More
  8. No Image

    고천문 관련 '한국서지(韓國書誌)' 수록 도서 목록

    『한국서지(韓國書誌)』는 지금으로부터 120여년 전 프랑스의 서지학자인 모리스 꾸랑이 지은 서지 목록으로, 고려시대의 '상정고금예문'에서부터 구한말에 펴낸 '한성순보'까지 3821 종에 이르는 도서의 정보를 크게 9분야로 나누어 정리한 책입니다. 이 책...
    Date2010.01.20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068
    Read More
  9. 옛 천문도 그림을 볼 수 있는 곳

    옛 천문도 그림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http://cosmos.es.pusan.ac.kr/~hbann/ancient/ 고구려 고분 벽화 가운데 별 그림이 그려진 것과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모사본, 황도남북총성도를 비롯한 각종 신법 천문도, 일본과 중국의 천문도 그...
    Date2009.11.07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396
    Read More
  10. 플램스티드 성도

    플램스티드 성도(Atlas Coelestis)를 열람할 수 있는 곳이 있네요. 17~18세기에 유럽에서 발행된 대표적인 성도 가운데 하나로, 당시 유럽의 성도가 대강 어떤 형태로 발행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보세요. http://contentdm....
    Date2009.09.08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5876
    Read More
  11. No Image

    천상열차분야지도 동정

    **이 글은 2009년 5월 14일에 작성한 글입니다.** 얼마전부터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나와있는 별을 요즘의 성표와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요즘 기준으로 보면 그리 엄격하게 그려진 성도는 아닌지라 개개의 별이 실제로 어떤 별인지...
    Date2009.08.1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4850
    Read More
  12. No Image

    Cartes du Ciel용 우리 별자리

    Cartes du Ciel 프로그램 한글화 및 동양 별자리 표시 파일 ▲ 자미원 부분(파일 내려받기) Cartes du Ciel 프로그램을 한글로 바꿔주고, 동양 별자리를 표시해주는 파일입니다. 압축을 풀면 '읽어보세요.txt' 파일이 생기는데, 이 안에 사용법이 적혀 있습니...
    Date2009.08.1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046
    Read More
  13. No Image

    천상열차분야지도 채색 성도

    천상열차분야지도 성도 부분 채색 <이 그림은 월간 과학 뉴턴(뉴턴코리아 발행) 2005년 1월호 87쪽에 실려 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 성도 부분만 채색(큰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지도 부분만 따와서 별자리 별로 알아보기 쉽게 채색한 자료입니다. 빨...
    Date2009.08.1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8553
    Read More
  14. No Image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세차운동

    아무래도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을 더하는 데에는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듯 합니다. 전용 프로그램(세차운동 및 고유운동 포함))을 개발해 현재의 성표와 비교해 본 결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정밀도가 예상보다 훨씬 떨어집니다(어느 정도의 부정확함은 ...
    Date2009.08.11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2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Powered by XE